본문 바로가기

서비스기획2

[PRODUCT] 서비스 기획자가 디자이너, 개발자와 협업하는 방법 [티끌] 사이드 프로젝트 협업 방식 안녕하세요. 티플의 서비스 기획자 최윤아입니다! 오늘은 티끌 팀이 소통하는 방식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하는데요! 사이드 프로젝트로 진행하는 팀 치고 소통이 굉장히 많은 팀이기 때문입니다. 기능 하나, 뷰 하나를 짤 때 운영부터 기획, 디자인, 프론트와 서버에 이르기까지 어떻게 의사결정이 이뤄지는 지에 대해 소개해드리려고 해요🤓 🚀 애자일로 운영되다. (feat. 운영 방법론)IT 분야를 지망하고 계신 분들이라면 다들 애자일 방법론에 대해 아실테지만 사이드 프로젝트는 애자일을 적용시키기는 매우 어려운 환경입니다. 모두의 1순위가 프로젝트가 아니기 때문에 여러 번의 사이클을 돌기 어렵죠. 특히, 이미 진행된 개발 결과물에 대해 그것을 뒤집기는 더더욱 아쉬움이 남죠🥹 🤔제가 .. 2023. 8. 14.
[PRODUCT] 앱 서비스에서 회원가입의 필요성 [티끌] 티끌은 회원가입이 꼭 필요한 프로덕트일까요? 안녕하세요. 저번 주에 이어 프로덕트 팀의 블로그를 작성하게 된 최윤아입니다! 오늘은 서비스 성향에 따라 달라지는 회원가입의 형태에 대해 말해보고자 합니다. 🚀 회원가입에 대해 깊게 고민하다. 팀에 들어온 극초기에는 ‘기능이 기획과 맞는가? 최선의 해결책인가?’ 등 조금 더 본질적인 문제 해결 과정에 집중하게 되는데요. 그 후에는회원가입을 소셜 로그인으로 할 것인가? 혹은 자체 로그인으로 할 것인가?챌린지 참여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유입 루트를 어떻게 설정해야 하는가?소비 유형 검사를 필수적으로 진행하게 할 것인가? 혹은 건너뛸 수 있게 할 것인가?등의 고민을 하게 됩니다. 저번 글보다 질문이 구체적이고 구현 및 사용성에 중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 2023. 7. 31.